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은행 수수료에 대해 알아보자!(은행 수수료 아끼는 방법)

by 오늘의 상식 한 숟갈 2024. 2. 26.
728x90
반응형

요즈음 돈을 ATM기나 은행에서 이체를 하게 되면 무료로도 이체가 가능하지만 소액의 수수료가 붙는 경우도 종종 있다. 내 돈을 내가 이체하는데 왜 수수료를 내야 하지? 하는 궁금증을 누구나 한 번쯤은 가졌을 것이다. 오늘 포스팅에서 은행수수료와 관련하여 질문과 대답 형식으로 자세하게 알아보자!

 

※ 이 포스팅의 내용 및 이미지는 전국은행연합회 자료를 참조하였음을 명확히 한다.

 

◈ 은행 수수료를 내야 하는 이유

▣ 서비스 제공을 위한 투자 비용 필요

◎ 은행은 고객이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물을 구입하거나 임대한다.

◎ 직원을 채용하여 훈련함은 물론 컴퓨터 전산 등 전산시설에 투자를 한다.

☞ 이러한 투자비용의 대가로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수수료를 받는 것이다.

 

◈ 은행수수료를 내면 고객에게 돌아오는 혜택

▣ 안전하게 고객 재산 보관

◎ 고객은 수수료의 대가로 자신의 재산을 은행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.

◎ 그리고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.

☞ 은행수수료로 인하여 다양하고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.

 

▣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는 금융거래 서비스

◎ 과거에는 고객이 현금을 인출하기 위해서 은행점포나 CD기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던 때도 있었다.

◎ 현재는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수수료와 기타 이익금을 이용하여 ATM 등 자동화기기의 증설은 물론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비대면채널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.

☞ 고객들은 인터넷뱅킹, 스마트뱅킹 등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.

 

◈ 내 돈을 인출하는 데 수수료를 내야 하는 이유

▣ 인건비가 들지 않는 ATM 등 자동화기기를 사용하는 데도 수수료를 내야 하는 이유

◎ 지하철역 물품보관함 관리자는 물품을 보관한 사람으로부터 보관료를 받는다.

◎ 마찬가지로 은행은 고객이 맡긴 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필요할 때 인출할 수 있게 해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다.

★ 물품보관비와 은행서비스의 차이점
- 은행고객의 경우 맡긴 돈을 어느 때나 공간적으로 떨어진 다른 지역에서도 찾을 있다.
☞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시설투자와 유지비가 필요하다.

 

◎ 은행은 고객이 단돈 1만 원을 인출하거나 잔액확인만을 할 경우에도 아래와 같은 시설의 설치·유지비 및 인건비가 소요된다.

- 건물 구입비 또는 임대료

- 사무실 집기 설치 비용

- 관리비, 전기, 보안, 청소 등의 비용

- 직원 훈련비 및 급여

- 지점 내 현금 보유 비용

- 여러 양식 조제비와 안내장 인쇄비

- 컴퓨터 등 시스템 구입 설치 및 유지관리비

 

☞ 은행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서 자신의 돈을 인출하는 고객에 대해 수수료의 부과가 불가피한 것이다.

 

※ 현재 은행에서 받는 수수료는 이러한 비용의 일부만을 보전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다.

※ 일부에서는 고객이 맡긴 예금을 대출에 운영함으로써 이자수익을 얻는 데 수수료까지 받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.

※ 최근 은행들은 금융기관 간 치열한 경쟁으로 대출이자가 점차 낮아지면서 예전보다 훨씬 낮은 수준의 이익을 얻고 있다.

 

☞ 고객의 돈을 보관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대가로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수수료를 부득이 받고 있는 것이다.

 

◈ 은행 수수료 절감하는 방법

기본적인 수수료 절감방법을 알지 못하여 내지 않아도 될 수수료를 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.

은행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 수수료 절감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.

 

▣ 주거래 은행을 만든다.

◎ 대부분의 은행들은 고객들의 거래실적에 따라 기여도를 산출한다.

◎ 이를 기준으로 우수 고객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각종 혜택을 준다.

- 수수료 감면

- 환율 우대

- 자기 앞수표 발행 수수료 면제

 

◎ 거래 기여도 산정 기준으로는 은행별로 다르지만 대개는 다음과 같은 거래가 활용되고 있다.

- 월급 자동이체

- 공과금의 자동이체

- 예금 및 신탁상품 가입 실적

- 대출 및 카드 등의 여신 사용액

 

▣ 인터넷·텔레·모바일 뱅킹, ATM 등 무인거래용 기기를 많이 사용한다.

◎ 지점에서 은행직원과 직접 거래보다는 인터넷 뱅킹, 모바일 뱅킹, ATM 등 무인거래용 기기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.

☞ 이 경우, 은행은 창구 직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에게 더욱 저렴한 수수료를 부과한다.

★ 예시
- 지점에서 은행직원을 통한 거래 수수료는 보통 1,000 원 ~ 4,000 원이다.
- ATM은 무료이거나 1,000 원 정도이다.
- 인터넷 뱅킹은 무료이거나 500원 수준이다.

 

◎ 인터넷 뱅킹 등 전자금융거래는 수수료 절감 이외에 거래시간, 교통비 절감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고객에게 준다.

 

▣ ATM은 영업시간 내에 이용한다.

◎ 대다수 은행의 ATM 사용 수수료는 영업시간 중 수수료가 영업시간 후의 수수료보다 저렴하다.

◎ ATM 이용 시 가능하면 계좌개설은행의 ATM을 사용한다.

◎ 현금인출 시에는 소액을 여러 번 인출하기보다는 가능한 한 한꺼번에 필요한 금액을 인출하는 것이 좋다.

 

▣ 거래은행의 수수료 우대제도를 잘 파악해 둔다.

◎ 각 은행별로 거래실적이 좋거나 급여·공과금 이체 등을 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별도의 수수료 우대제도를 운용하고 있다.

◎ 많은 은행들이 노약자 등의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창구수수료 할인 또는 면제제도를 시행하고 있다.

 

▣ 각 은행별 수수료를 비교해 본다.

◎ 한 은행 내에서도 상품별로 적용하는 수수료가 다를 수 있다.

◎ 은행별로 수수료 수준을 꼭 확인해 보는 것이 수수료를 절감하는 방법이다.

 

은행별 수수료 비교 바로가기
은행별 수수료 비교 바로가기

 

이상 포스팅을 마친다. '아는 것이 힘이다.'라는 말이 있듯이 다음 포스팅도 알차고 유익한 상식 및 지식을 가지고 찾아올 예정이니 기대 바란다!

 

 

반응형